학교수업

사물인터넷의 이해 14주차

숯불돼지왕갈비 2021. 12. 17. 20:08

홈 네트워크

- 가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단말기를 이용해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는것

 

U-헬스케어

-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함

- 신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건강 상태 변화에 대한 의료 서비스를 받음

기술

- 생체 정보 감지 기술

- 생체 정보 인터페이스 기술

- 생체 정보 처리 기술

 

U-시티

- 편리한 도시

- 건강한 도시

- 안전한 도시

- 쾌적한 도시

 

사물인터넷 등장 배경

- 유비쿼터스 컴퓨팅 : 모든 사물에 칩을 넣어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

- 사물지능통신(M2M) : 동일한 유형의 사물끼리 서로 통신하는 기술

- 사물인터넷 :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사물지능통신보다 발달된 형태

 

사물인터넷 구조

1. 데이터 생성

2. 네트워크 연결

3. 데이터 처리

4. 서비스 제공

 

사물인터넷 핵심 기술

1. 센싱 기술

2. 네트워킹 기술

3. 인터페이스 기술 

4. 디바이스 기술

 

상용화 사례

구글 글라스(스마트 워치)

구글 카

스마트 팜 서비스

스마트 홈 서비스

스마트 차량 관제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 인터넷의 데이터 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필요할 때마다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로 불러와서 사용하는 서비스

- 필요한 자원을 가상화된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는 방식

장점 : 필요한 자원만 선택하여 구매하고 나머지 임대로 사용가능

단점 :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정성 확신이 어렵다.

 

빅데이터

- 매우 큰 규모의 데이터에서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기술 ->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

처리 프로세스

- 데이터 생성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