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 인터넷 서비스
- 의료 분야, 가전제품, 통신,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 제조 과정과 애플리케이션을 연결시켜 생산성을 증대
사물/만물 인터넷 시대의 인터페이스
- 음성이 각종 디바이스 제어
- 음성 인식의 화두는 정확도
- 음성인식은 입력한 음성과 통계적으로 유사한 소리 검색하고 대조하는 방식
- 음성 데이터 보유 정도에 따라 정확도 결정(데이터 마이닝, 인공지능, 딥러닝 활용)
- 음성 인식 기술은 게임, 교육, 자동차, 의료, 물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 특히 자동차 운전 중 필요한 기능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음성 인식 기능이 가장 빨리 적용되는 분야
세대별 플랫폼 특징
1세대 : 컴퓨터 도입(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2세대 : 인터넷 웹서비스 활성화
3세대 : 다양한 디바이스 등장, 무선,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과 같은 기술들이 활성화
4세대 :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융복합 과정을 거쳐 사물인터넷 환경 구축
-> 현재 우리나라는 3세대며 4세대 준비중 (가장 큰 변화는 플랫폼의 변환이다)
3세대 플랫폼 : 빅데이터 분석과 운영을 위해 클라우스 시스템 관리, 원격으로 데이터센터, 서버, 스토리지 등을 연결
-> 3세대 플랫폼은 서비스 중심 플랫폼으로 변화
3세대 플랫폼이 충촉해야 할 요건
- 기존 플랫폼과 균형을 맞춰야 함
-> 서로 다른 플랫폼과 데이터 교환이 원할하게 이뤄져야 2세대 플랫폼까지 원활하게 동작
- 방대하고 복잡한 스토리지 관리를 자동화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여야 함
플랫폼 전쟁의 핵심 : 소프트웨어
정보통신기술의 산업 구조는 하드웨어-운영체제-미들웨어-콘텐츠 순서로 위치
하드웨어 중심이던 정보통신기술 산업이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급속하게 변화중
융합 플랫폼
1차 플랫폼 키워드 : 모바일
2차 플랫폼 키워드 : 융합
사물/만물 인터넷의 보안
- 우리나라 보안 수준은 2세대 수준
- 3세대 단계에서 보안위협 (APT, 정보탈취, 사이버사기)가 일어난다.
- 사물 인터넷 화경이 4세대가 되면 대규모 사이버 테러, 정보 유출 등이 우려됨
->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보안 솔루션 뿐 아니라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형태로 바뀌어야한다.
- 안전하지 않은 디바이스 : 펌웨어나 패치 등 지원을 받지 못해 잘 알려진 공격도 피하지 못한다.
- 기업 네트워크나 인프라에 연결된 기기 해킹하면 트래픽을 통과시킬 수 있는 브릿지를 생성하여 악용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
- 일상 생활과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생활의 일부가 되는 것
- 모든 사물에 칩을 넣어 컴퓨터를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게 하여, 사람들이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용하게 하는것
-> 소형화가 중요함을 다시 강조
보이지 않는 컴퓨터
- 장치를 일상생활의 사물 속에 내장시키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키는 형태
조용한 컴퓨터
- 컴퓨터의 존재를 표면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조용히 도와주는 역할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특징
- 네트워크는 항상 연결
- 사용자에게 친화력있는 인터페이스 제공
-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
- 상황에 따라 서비스 내용이 변함
웨어러블 컴퓨팅
- 옷이나 안경처럼 입을 수 있는 컴퓨팅
요구사항
- 자연스럽게 입고 벗기가 가능해야한다
- 사용자 요구에 즉각 반응해야한다
- 기기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보장해야한다.
- 착용에 따른 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해야한다.
- 장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장치와 융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녀야한다.
-> 하드웨어 플랫폼 기술,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상황 인지 기술, 저전력기술,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등이 필수
노매딕 컴퓨팅
- 휴대 기기와 결합해 언제 어디서나 외부와 접속 할 수 있는 기술
- 네트워크 이동성을 극대화하여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이동하면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기술
퍼베이시브 컴퓨팅
- 모든 사물에 컴퓨터(칩)을 심음
감지 컴퓨팅
- 인간의 감각기관 같은 센서 장치를 이용해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기술
- 감지하는 대상에 따라 사용자의 행위 감지와 주변 환경 감지로 구분
RFID
- 태그가 부착된 상품을 RFID 리더가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품의 물류 및 재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술
-> 다양하게 활용되지만 개인 정보 유출 문제가 있다.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USN)
- 모든 사물에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능 결합
증강현실 기술
- 디스플레이 기술
- 마커 인식 기술
- 영상 합성 기술
생체인식
- 살아있는 사람의 신원을 생리학적 특징이나 행동적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인증하는 기술
홍채 인식
- 홍채 무늬 패턴으로 구분
망막, 손 모양, 정맥, 지문 등도 생체인식으로 사용
- 보안성은 뛰어나지만 정확도가 떨어짐(하지만 AI를 이용하여 인식률(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학교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즈 프로그래밍 1주차 (1) | 2022.03.02 |
---|---|
사물인터넷의 이해 14주차 (0) | 2021.12.17 |
사물인터넷의 이해 12주차 (0) | 2021.12.17 |
사물인터넷의 이해 11주차 (0) | 2021.12.17 |
사물인터넷의 이해 10주차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