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레지스터(광소자) = 조도센서

밝으면 저항 값이 0에 가까움 => ADC입력값이 커짐

어두우면 저항 값이 220에 가까움 => ADC입력값이 작아짐

 

TMP36 온도센서 => 온도에따른 전압 출력

 

디지털 신호 = 네모파형 0V, 5V 두 상태 값만 가짐

아날로그 신호 = 0V ~ 5V 제한된 범위에 값이 오르내림(연속 값), 사인 파형

 

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기 (Analog-Digital Converter, ABC)사용 : 아두이노 내장

ABDC 정확도는 비트 수로 결정 (아두이노는 10비트 사용) 0~1023값 5V=1023, 2.5V=512

 

아날로그로 읽는 아날로그 센서값 : analogRead() = 입력만 가능

디지털 데이터는 한 번에 한 비트 값인 1.0만 입력 가능

아날로그 데이터는 한번에 10비트 데이터가 읽힘

기준 전압이 5V일 때, 최대 단계 1024이므로, 각 단계별로 5V/1024단계 = 4.9mV

 

아날로그로 읽는 아날로그 센서값 : 가변저항

종류에 따라 모양, 크기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핀 세 개가 있다. (0~5V사이값)

 

TMP36 온도 센서의 온도 측정값

온도=[전압(mV)-500]/10

0도 = 0.5V(500mV) 1도 = 10mV

ex) 25도에선 = 0.5V+25*10mV = 500+250 = 750mV 

 

전압 분배 회로

몇몇 물체는 저항값이 변할 뿐, 전압은 바뀌지 않는다. (저항값 변화 측정)

ex)누르거나 구부릴때 저항값 변경, 빛을 받을 때 저항값 변경, 뜨겁거나 차가울 때 저항값 변경

전압 분배 법칙 : V(out)=V(in)*(R2/(R1+R2))

V=IR

 

10비트 아날로그 값 8비트로 출력

10비트 ADC의 0~1023까지 아날로그 입력값->Uno의 8비트 아날로그 0~255값으로 전환

map()함수

조도 센서에 의해 주변이 어둡게 감지(조도 값 낮음) LED는 밝아져야함

ADC에서 받은 값이 낮으면(어두움) LED로 높은 출력값

output=map(value,fromLow,fromHigh,toLow,toHigh)

constrain()함수

map()은 입출력 제한값X 255보다 높은 값 출력 가능

analogWirte()는 255보다 큰값 사용X 최대 최소 제한값 필요(0~255)

output = constrain(value, min, max)

'학교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현실프로그래밍 3주차  (0) 2021.09.24
정보보호개론 3주차  (0) 2021.09.23
사물인터넷의이해 3주차  (0) 2021.09.18
웹개발기초 3주차  (0) 2021.09.17
객체지향프로그래밍 3주차  (0) 2021.09.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