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개의 비트로는 2의 N승만큼의 데이터 표현이 가능
1->2 , 2->4 , 3->8 , 4->16
16진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2진수로 표현했을 때 너무 길어서 가독성이 떨어졌기 때문
8진수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접근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32진수와 64진수를 자주 쓰지 않지만 요즘 URL, 이미지 파일에 사용하기 시작(앞으로의 사용 가능성 있음)
부호없는 정수(unsigned)
8비트로 해결 65536까지 표현
부호있는 정수(signed)
맨 앞의 비트 패턴은 음수,양수를 표현 8비트로 해결 ( 1비트 / 7비트 )
보수
N진법에서의 보수는 N의 보수와 N-1의 보수가 있다
ex)9의 보수 [10진수 기준]
3의 9의 보수는 6이다. (9가되기 위해 필요한 숫자 = 6)
7의 9의보수는 2
483의 9의 보수는 (999가 되기 위해 필요한 숫자 = 516)
즉, 9의 보수는 10의 n승 -1 이 되기위해 필요한 수
반응형
'수학 > 소프트웨어 공학용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공학용 수학 3일차 (0) | 2021.05.27 |
---|---|
소프트웨어 공학용 수학 1일차 (0) | 202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