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퍼지 논리
- 모호한 대상을 다루는 논리다.
퍼지 집합
- 모호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집합에 대한 이론
ex) 온도, 높이, 빠르기, 거리, 미모 등 경계가 불분명한 척도를 나타낸다.
불 논리
- 전통적인 논리는 참과 거짓으로 확실하게 구분된다.
불 논리의 불합리함을 퍼지 논리를 통하여 피한다.
퍼지 사고 : 다변수 논리
- 고전 논리 연산은 1,0 값만 다루지만, 루카지위치는 진리 값의 범위를 0~1사이 모든 실수로 확장
-> 명확하지 않은 대상을 다루는 가능성 이론이라는 추론 기법이 나옴
맥스 블랙 : 연속체는 정도를 내포한다.
- 명확하게 아닌가 맞는가에 대한 선을 긋는것은 불가능하다.
- 연속체가 이산적이라면 연속체의 구성원마다 숫자를 부여할 수 있다.
로트피 자데 : 퍼지 집합을 발표
- 자연어 용어를 적용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을 도입 -> 퍼지 논리
2치 논리인 불 논리와 다르게 퍼지 논리는 다치 논리다.
집합론
- 우리가 쓰는 자연어는 집합의 궁극적인 표현이다.
크리스프 집합은 이분법 원리이다.
퍼지 집합론 기본 발상
1. 원소가 퍼지 집합에 어느정도 속한다.
2. 명제는 참 또는 거짓이 아닌 어느 정도는 부분적으로 참(또는 거짓)을 나타냄
3. 정도는 보통 [0,1] 범위의 실수값으로 표현
크리스프 집합을 이용해서 0또는 1로 표현하는 것 보다 퍼지 집합론을 통하여 0.xx 단위로 보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퍼지 집합의 세로 축 : 퍼지 집합에 대한 소속값
퍼지 집합의 가로 축 : 논의 영역
반응형
'학교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서버 7주차 (0) | 2022.04.23 |
---|---|
게임공학개론 7주차 (0) | 2022.04.21 |
UNIX서버 6주차 (0) | 2022.04.20 |
UNIX 서버 5주차 (1) | 2022.04.19 |
UNIX서버 4주차 (1) | 202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