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 프로그래밍 10주차
·
학교수업
기본 클래스 : 상속해주는 클래스(부모) 파생 클래스 : 상속받는 클래스(자식) 상속의 목적 : 1. 간결한 클래스 작성 (파생 클래스를 간결하게 작성) 2. 클래스 간의 계층적 분류 및 관리의 용이 3. 클래스 재사용과 확장을 통한 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 다운 캐스팅 - 기본 클래스의 포인터가 파생 클래스의 포인터에 치환되는 것 업 캐스팅 - 파생 클래스 포인터가 기본 클래스 포인터에 치환되는 것
웹프로그래밍 12주차
·
학교수업
BOM(Browser Object Model) 객체들 - 자바스크립트로 브라우저를 제어하기 위해 지원되는 객체들 (HTML 페이지 내용과 관계없음) - 브라우저 공통 BOM 객체 1. window - 브라우저 모양 제어. 새 윈도우 열기/닫기 2. navigator - 브라우저에 대한 다양한 정보 제공 3. history - 브라우저 윈도우에 로드한 URL 리스트의 히스토리 관리 4. location - 브라우저 윈도우에 로드된 HTML 페이지의 URL 관리 5. screen - 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있는 스크린 장치에 대한 정보 제공 - BOM은 국제 표준이 없어 브라우저마다 BOM 객체들이 조금씩 다르다: window 객체 - 브라우저 윈도우나 탭 윈도우마다 별도의 window 객체 생성 window ..
정보보호개론 11주차
·
학교수업
웹(Web) -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문서들이 인터넷(Internet)을 통해서 연결된 시스템 구성 : 프로토콜(HTTP, TCP/IP) + 주소 체계(URL) + 데이터 포멧(HyperText) - 통신 프로토콜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콘텐트 : 하이퍼텍스트 문서들 -> 링크를 통해 다른 문서로 접근할 수 있는 문서 ex)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문서 - 주소 체계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하이퍼텍스트 및 이미지, 동영상 등의 자원을 접근하기 위한 주소 웹의 시작 - 정식 이름 : 월드-와이드 웹 (WWW : World Wide Web) -> WWW또는 W3이라고도 불림 - 시작 ..
정보보호개론 10주차
·
학교수업
ICMP(The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네트워크 상에 현재 오류가 없는지 진단한거나 제어하는 목적으로 사용 -> IP 프로토콜의 약점 보완 목적 - ICMP의 사용 목적 1 : 네트워크 진단 -> 네트워크 연결 여부 확인 : ping 또는 traceroute - ICMP 사용 목적 2 : 네트워크 흐름 통제 -> 게이트웨이가 2개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게이트웨이의 IP 메세지 재전송 ICMP 스푸핑 1. ICMP 리다이렉트 보내기 (여러 번 반복 실행 하여 어쩌다 한 번 걸림) 2. 단말 A에서 보낸 메세지는 먼저 공격자 I에게 전송 3. 스니핑 성공을 위해 기존 게이트웨이로 전송 DNS(Domain Name Service 도메인 네임 서비스) : UDP 통신 사..
가상현실프로그래밍 11주차
·
학교수업
TCP/IP 주소의 구조 - 물리 주소(MAC 주소)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 카드(NIC) 6바이트(48비트) 주소 등을 말한다. - 인터넷 주소 : 인터넷 에서는 기존 물리 주소와 별도로 각 호스트(PC)를 식별 할 수 있는 유일한 주소를 지정해야함 - 포트 주소 : 수신지 컴퓨터까지 전송하려면 IP주소와 물리주소가 필요 -> 인터넷 통신의 최종 목적은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와 통신하는 것 IP(인터넷 프로토콜)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는 고유 주소가 부여 -> IP 주소 - 현재 IP 주소 체계는 IP Ver.4이다. - IP 주소는 8비트 크기의 필드 네 개를 모아서 구성한 32비트(4바이트) 논리 주소 - xxx.xxx.xxx.xxx, 즉 163,152,19,114처럼 .(점)으로 구분..
가상현실프로그래밍 10주차
·
학교수업
아두이노 스위치 연동(binary value 전송) - push 버튼에 10k옴 저항 사용 - 모든 핀에 pullup 저항 있다. - 내부 pullip 저항을 사용하려면 한쪽엔 GND, 다른쪽에 pin 연결 가변저항 사용 - 입력값은 0~1024 - Byte단위로 전달하기 위해 4로 나눔 - 가운데가 아날로그 핀이다. Flex Sensor 활용 -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가변 저항 (많이 휠수록 저항값 증가) - GND->(저항)->Flex Sensor->5V 회로 구성 리드 스위치 - 평소에 유리관 속에 밀봉된 2개의 자성 리드 조각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열린 상태로 되어있다. - 스위치에 자석을 접근시키면 2개의 리드 조각에 의해 자기회로가 되어 2개의 리드는 끌어당겨져 접점을 닫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