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의 이해 6주차
·
학교수업
가장 일반적 사물인터넷 구조 DNPC(S)로 지칭 Deivce(데이터 생성/소비) Network(연결) Platform(데이터 처리) Customer(서비스 제공) 사물인터넷 실현 위한 핵심 기술 -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서비스 플랫폼 기술 현재 사물인터넷 국제 표준 - oneM2M표준 (공동플랫폼으로 정의) oneM2M 계층 모델 : 종단간 사물인터넷 서비스 위한 계층 모델 1. 애플리케이션 계층 (AL : Application Layer) 안에 AE 존재 2. 공통 서비스 계층 (CSL : Common Services Layer) 안에 CSE 존재 3. 네트워크 서비스 계층(NSL : Network Services Layer) 안에 NSE 존재 ->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쓰이는 물리적 단말, 게이..
웹개발 기초 6주차
·
학교수업
배치 기능이 있는 CSS3 프로퍼티들 : display, position, left, right, top, bottom, float, z-index, visibility, overflow 블록박스, 인라인박스 블록박스 ex) div //display:block - 항상 새 라인 시작 - 블록 박스 내에만 배치 - 옆에 다른 요소 배치 불가 - width, height로 크기 조절 - padding, border, margin 조절 가능 인라인박스 ex) span //display:inline - 새라인에서 시작 못함(라인 안(inline)에 있음) - 모든 박스 내 배치 가능 - 옆에 다른 요소 배치 가능 - width와 height로 크기 조절 불가능 - margin-top, margin-bottom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6주차
·
학교수업
복사생성자 : 객체 복사 생성시 호출되는 생성자 - 한 클래스에 오직 한 개 선언가능 (클래스 대한 참조 매개 변수를 가지는 생성자) 참조 리턴 : 공간을 리턴 함수 중복의 모호성 - 형 변환으로 인한 모호성 - 참조 매개 변수로 인한 모호성 - 디폴트 매개 변수로 인한 모호성 static 멤버 = 클래스 멤버라고 불린다, 객체 내부가 아닌 별도 공간에 생성 -> 전역 변수, 전역 함수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기 위해 static을 이용해 클래스 멤버로 선언 - static 멤버를 선언하면 모든 객체가 공유 (공유 변수) static 멤버 함수가 접근할 수 있는 것 - static 멤버 함수 - static 멤버 변수 - 함수 내 지역 변수 - static 멤버 함수는 non-static 멤버에 접근 불가 ..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5주차
·
학교수업
사용자 정의 컨트롤러 : 모든 컨트롤러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자 저의 컨트롤러 지원 - VRTK 플랫폼에서 하나의 사용자 정의 컨트롤러 정의 - 사용자 정의 모델과 이벤트 재정의 가능 - EmptyObject에 3D모델 및 이벤 핸들러 작성 - VRTK_SDKManager 객체 사용 -> 왼쪽, 오른쪽 컨트롤러 개별적 지정 -> Empty object로 부터 계층 구조를 가지고 객체생성(Controlelr, Left, Right) -> VRTK_SDKManager에 Left는 Left Controller, Rigth는 Right Controller에 할당된다. - 컨트롤러부터 이벤트를 받기 위해 VRTK_ControllerEvents 컴포넌트 추가 - VRTK_ControllerEvents_UnityEve..
정보보호개론 5주차
·
학교수업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서버 => 보안에 강함 (서버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높다) 대용량 서버 시장 : Unix 클라우드 환경 : Linux 4가지 관점 : 계정, 서비스, 패치, 로그 관리 vi 에디터 실행 및 모드 - vi [편집 하려는 file 경로] ex) vi /etc/pam.d/login - 모드 1) 삽입 모드 : 원하는 글자 입력 삽입->명령어 : ESC 2) 명령어 모드 : 방향키로 이동, 글자 삭제 등이 편집이 가능한 모드 명령어->삽입 : i, a, o 명령어->라인 편집 : :, ?, / 3) 라인 편집 모드 : 파일 저장, 종료 가능한 상태 라인 편집->명령어 : Enter vi 에디터 명령어 1. 파일 저장 및 종료 :w 현재 편집 파일 저장 :q 현재 파일 닫고 ..
임베디드기초 5주차
·
학교수업
스피커 동작 원리 1. 압력파(pressure wave) - 소리는 공기로 전달되는 압력파 - 물체(공기 분자)가 진동하면 주변 공기에 진동 전파 -> 이 연쇄 반응으로 인간의 고막에 소리 전달 2. 주파수(frequency) - 공기 입자가 얼마나 빨리 진동하는지 - 주파수 높아지면 음이 높아지고 낮아지면 음이 낮아진다. - 중간 도 음의 주파수는 261.63Hz이다. (1초동안 2361.63번 진동 => 음의 주기 1/261.63=3.822ms다) 3. 진폭(amplitude) - 진동의 크기 - 진폭이 클수록 소리가 커지고 작으면 소리가 작아진다. - 진폭은 흐르는 전류의 양으로 조절한다. (가변 저항을 이용해 음량 조절) 네모파 - 실제 소리는 사인 곡선 형태의 파형이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