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개론 7주차
·
학교수업
퍼지 논리 - 모호한 대상을 다루는 논리다. 퍼지 집합 - 모호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집합에 대한 이론 ex) 온도, 높이, 빠르기, 거리, 미모 등 경계가 불분명한 척도를 나타낸다. 불 논리 - 전통적인 논리는 참과 거짓으로 확실하게 구분된다. 불 논리의 불합리함을 퍼지 논리를 통하여 피한다. 퍼지 사고 : 다변수 논리 - 고전 논리 연산은 1,0 값만 다루지만, 루카지위치는 진리 값의 범위를 0~1사이 모든 실수로 확장 -> 명확하지 않은 대상을 다루는 가능성 이론이라는 추론 기법이 나옴 맥스 블랙 : 연속체는 정도를 내포한다. - 명확하게 아닌가 맞는가에 대한 선을 긋는것은 불가능하다. - 연속체가 이산적이라면 연속체의 구성원마다 숫자를 부여할 수 있다. 로트피 자데 : 퍼지 집합을 발표 -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