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공학개론 3주차
·
학교수업
지오메트리 메쉬 돌출 모드로 늘리기 가능 -> ctrl 키를 이용한 점 점 선택으로 변을 선택가능 메싱 -> 그레이 박싱을 정식 에셋으로 교체하는 방법 -> 그레이 박스를 제거하고 메싱 작업하면 게임에 대한 파손 발생 가능 => 그레이 박싱을 삭제하지 않고 보이지 않는 상태로만 변경(메싱 규칙을 효과적으로 짜야한다) 네비메시 : Agent height, radius에 따라 Nav mesh 영역이 계산됨 엔진 컨텐츠 bp_sky_sphere (스카이 박스) 레벨 스트리밍 - 실시간으로 레벨을 로딩하는 기능 - 지역간 자연스러운 이동에 사용 - 서브레벨 분할을 통해 분할 작업 가능 -> 독립적 레벨 디자인 가능 - 분할된 레벨은 레벨 패널에서 레벨 버튼 클릭 후 서브 메뉴에서 병합 가능 왜 쓰는가? 하나의 ..
OrbitingMovement 컴포넌트 생성
·
Unreal Engine 4/Unreal Engine 4
Scene Component를 부모 클래스로 사용하여 생성한다. tick component에 아래 코드를 추가한다. float CurrentValueInRadians = FMath::DegreesToRadians(CurrentValue); SetRelativeLocation(FVector(OrbitDistance * FMath::Cos(CurrentValueInRadians), OrbitDistance * FMath::Sin(CurrentValueInRadians), RelativeLocation.Z)); if(RotateToFaceOutwards) { FVector LookDir = (RelativeLocation).GetSafeNormal(); FRotator LookAtRot = LookDir.Ro..
컴퓨터 그래픽스 기초 3주차
·
학교수업
왜곡을 없애기 위하여 최대한 정삼각형으로 구현해야한다. geometric modeling : (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이용한 모델링 + 텍스처 매핑 -> 우리가 보는 그래픽 3D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 1. 모션 디자인 -> 하나씩 수동으로 명령(ex) 팔을 올려라, 다리를 들어라) 2.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 불이나 물같은 다루기 어려운 것을 시뮬레이션으로 조절 3. 모션 캡쳐 -> 웃거나 화내거나 하는 모습을 센싱장비를 통하여 수집하여 사용 4. 다이나믹 디포메이션 ->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과 유사) 물리적이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수정하는 것 -> ex) 강아지의 목이 늘어난다. Parameterization : 3차원 -> 2차원 OpenGL 설치 - GLUT 압축파일 (dll, inclu..
계층구조 만들기
·
Unreal Engine 4/Unreal Engine 4
BoxOne과 BoxTwo라는 두 staticMesh가 있다면 One은 Root에 AttachTo를 시키고 Two는 ChildSceneComponent에 AttachTo를 시킨다. 후에 ChildSceneComponent는 Root에 AttachTo를 시킨다.
ConstructorHelpers를 이용한 Object 찾기와 그 에 대한 참조 획득
·
Unreal Engine 4/Unreal Engine 4
1. auto를 사용한 예시 auto 변수 = ConstructorHelpers::FObjectFinder(TEXT("..."); 2. auto가 없는 경우 ConstructorHelpers::FObjectFinder 변수 = ConstructorHelpers::FObjectFinder(TEXT("...");
인공지능개론 3주차
·
학교수업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에서, 분야 지식은 IF-THEN 생성 규칙의 집합이다. 명제 : 참 거짓을 확실히게 판단할 수 있는 문장 순방향 연결 1. 데이터 지향 추론 2. 알려진 데이터에서 추론을 시작하여 순방향으로 진행해 나간다. 3. 한 번에 가장 좋은 규칙 하나만 실행하며, 규칙이 점화되면 그 규칙은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사실을 추가함. 4. 어떤 규칙이라도 한 번만 수행된다. 5. 일치-점화 사이클은 더 이상 점화할 수 있는 규칙이 없으면 중단 단점 - 정보를 모으고 이를 통해 계속 추론 가능한 무언가를 추론하는데 이는 목표와 무관한 결과를 상당수 점화시킬것이다. -> 하나의 특정 사실 추론을 위해 사용하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 역방향을 사용함으로써 해결 역방향 연결 1. 목표 지향 추론 ->..